Lined Notebook

Chapter 6. Nonparametric Identification

by wholmesian

안녕하세요, 가짜연구소 Causal Inference 팀의 남궁민상입니다. 

Introduction to Causal Inference 강의의 여섯 번째 챕터이며, 해당 챕터에서 다루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Contents

  • $do$-calculus
  • Determining Identifiability from the Graph

◦ 강의 영상 링크 : Chapter 5 - Randomised Experiments and Identification

    Ch 5와 6이 하나의 강의로 합쳐져 있습니다. 위 영상의 전반부는 교과서의 Ch 5, 후반부는 Ch 6 내용입니다. 그래서 여기서부터는 영상 제목과 챕터 제목이 안 맞습니다ㅠ

    작성된 내용 중 개선점이나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do$-calculus

잠깐 지금까지의 내용을 되짚어 볼까요? 우리가 원하는 것은 treatment $T$와 outcome $Y$의 인과관계, 즉 $P(y\:|\:do(t))$를 밝혀내는 것입니다. 이것을 identification이라 하죠.

  • 아주아주 간단한 경우, 다른 노드 없이 $T \rightarrow Y$라면 statistical quantity가 곧 causal quantity입니다. $P(y\:|\:do(t))\:=\:P(y\:|\:t)$입니다.
  • 그런데 여러 노드들 사이의 관계가 복잡하게 엮이면, $P(y\:|\:do(t))$를 계산하기 위해 더 복잡한 과정이 필요합니다.
    • graph factorization을 통해 노드들 사이의 관계를 쭉 늘어놓고
    • 우리가 관심없는 것들($T$를 제외한 노드들)은 marginalize하고
    • 그리고 $do(t)$ 항을 없애는 방향으로(observation으로 바꿔나가는 방향으로) 식을 정리한다.
    • 이 과정이 지난 시간에 배웠던 adjusting for confounders입니다.

앞서 다룬 backdoor criterion과 frontdoor criterion은 이런 과정이 간단한 케이스입니다. DAG만 쓱 보고도 identify할 수 있는 특수 케이스죠. 그런데 특수 케이스 말고, 일반적인 접근법은 없을까요?

당연히 있습니다! 이 과정에 쓰일 수 있는 3가지의 inference rule이 있는데, 이 일련의 규칙들이 바로 $do$-calculus입니다.

 

누군가가 던진 질문에 주디아 펄 교수님이 직접 답변해주셨네요!

 쉽게 말하자면, $do$-calculus는 일종의 논리적 법칙입니다. 우리가 유클리드 기하학의 5가지 공준을 이용해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유도할 수 있는 것처럼, $do$-calculus의 3가지 규칙을 이용하면 인과적 관계를 규명할 수 있습니다. frontdoor & backdoor adjustment는 이 법칙들을 적용해서 유도한 공식 중 하나인 거고요.

 

 밑에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do$-calculus의 3가지 룰은 DAG에서 '이런 노드들은 무시해도 돼!' 또는 '이런 intervention은 observation으로 취급해도 돼!' (또는 그 역) 라고 말해줍니다. 쉽게 말해 복잡하게 얽혀있는 상관관계 항들을 쳐내면서 인과관계를 규명할 수 있게 도와주는 거죠.

$do$-calculus의 의미를 쉽게 설명하자면...
Rule 1: ~~한 조건이 만족된다면, ~~에 대한 observation을 무시할 수 있다.
Rule 2: ~~한 조건이 만족된다면, ~~에 대한 intervention을 observation으로 간주할 수 있다.
Rule 3: ~~한 조건이 만족된다면, ~~에 대한 intervention을 무시할 수 있다.

또는 3개의 규칙 모두...
DAG를 ~~하게 조작했을 때, $Y$와 $Z$가 d-separated 관계라면 $Z$에 대한 항을 무시 or 치환할 수 있다.

$do$-calculus를 위한 몇 가지 표기법

$do$-calculus를 살펴보기 앞서, 이 챕터에서 자주 쓰이는 노드 이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 $T$ 또는 $X$: 조작변인. 우리가 그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는 노드들.
  • $Y$: 종속변인. 쉽게 말하면 결과. 우리가 궁극적으로 원하는 것은 $P(y\:|\:do(t))$를 알아내는 것.

또, $do$-calculus에서는 causal graph를 이리저리 조작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서 아래와 같은 표기법을 도입합니다.

 

Causal graph $G$에 대해서, 

  • $G_{\overline{X}}$: 집합 $X$에 포함된 노드들의 incoming edge ($parent(X)\rightarrow X$인 엣지)를 제거한 그래프
  • $G_{\underline{X}}$: 집합 $X$에 포함된 노드들의 outgoing edge ($X \rightarrow child(X)$인 엣지)를 제거한 그래프

처음 보는 표기법이지만, 직관적으로 이해하기는 어렵지 않을 겁니다. 노드 사이의 관계가 폭포처럼 위에서 아래로 흐른다고 생각해봅시다.

  • $G_{\overline{X}}$: 위를 막는다 → 부모로부터 오는 엣지 차단
  • $G_{\underline{X}}$: 아래를 막는다 → 자식한테 넘겨주는 엣지 차단

그럼 본격적으로 $do$-calculus의 3가지 규칙을 살펴볼까요?

Rule 1: Observation의 삽입 / 제거

\[P(y\:|\:do(t),z,w)=P(y\:|\:do(t),w)\quad if \quad Y {\perp\!\!\!\perp}_{G_{\overline{T}}} Z\:|\:T,W\]

수학적인 의미를 풀어보자면, 우리가 $P(y\:|\:do(t))$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Z$에 대한 observation 항이 등장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 때, $G_{\overline{T}}$에서 $(Y {\perp\!\!\!\perp} Z\:|\:T,W)$가 성립하면 $Z$에 대한 observation 항은 무시할 수 있습니다.

 

조금 직관적으로 풀어보자면, $Z$가 $Y$에 영향을 줄 수 있는 path가 없다면, $Z$에 대한 observation은 무시할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예시 하나 살펴볼까요? 위와 같은 그래프를 생각해보자. (여기서는 $T$ 대신 $X$라는 문자를 사용합니다)

 

$X\rightarrow Y$에 대한 인과관계를 밝히고 싶은데, $Z$를 신경써야 할까요?

$do$-calculus의 1 규칙에 따르면, $G_{\overline{X}}$에서 $W$,$X$를 conditioning 했을 때, $Z$와 $Y$가 d-separation 되어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Z$는 무시해도 됩니다!

직관적으로 봤을 때도, $Z$가 바뀌었다고 $Y$에 영향을 주는 경로가 없죠? 지금 같은 경우는 그래프가 간단해 바로 보이지만, 그래프가 복잡해지면 유용하게 사용되겠죠?

Rule 2: Action ↔ Intervention의 교환

그런데 Rule 1을 아무리 활용해도 식에 do-operator가 있는 걸 없앨 수는 없죠? 그걸 해주는 게 Rule 2입니다!

\[P(y\:|\:do(t),do(z),w)=P(y\:|\:do(t),z,w)\quad if \quad Y {\perp\!\!\!\perp}_{G_{\overline{T},\underline{Z}}} Z\:|\:T,W\]

수학적으로는, $G_{\overline{T},\underline{Z}}$에서 $(Y {\perp\!\!\!\perp} Z\:|\:T,W)$가 성립하면 $Z$에 대한 intervention은 observation과 같습니다. 즉, $Z$에 $do$-operator를 마음대로 삽입하거나 제거할 수 있습니다.

직관적으로는, $Z$가 $Y$에 영향을 줄 수 있는 path가 directed path 밖에 없다면 $Z$에 대한 intervention은 observation과 같게 생각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마찬가지로 위와 같은 예시를 생각해봅시다. 여기서 $do(z)$를 관측값 $z$로 생각할 수 있을까요?

$G_{\overline{X},\underline{Z}}$를 보면 $W,X$를 conditioning 했을 때, $Z$와 $Y$는 서로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d-separation). 따라서 $do(z)$를 그냥 $z$로 생각해도 무방합니다.

 

Rule 3: Action의 삽입 / 제거

규칙 3은 꽤나 복잡하게 생겼습니다.

\[P(y\:|\:do(t),do(z),w)=P(y\:|\:do(t),w)\quad if \quad Y {\perp\!\!\!\perp}_{G_{\overline{T},\overline{Z(W)}}} Z\:|\:T,W \]

먼저 $Z(W)$가 뭘까요? $Z(W)$는 ‘$Z$에 속한 노드 중에, $W$의 부모가 아닌 노드들의 집합'입니다.

 

위 케이스에서, $Z$는 $W$의 부모가 아닙니다. 따라서 $Z(W)$는 그냥 $Z$와 같습니다. (여기서는 $Z$가 하나의 노드이지만, $Z$가 여러 노드의 집합을 의미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는 것, 명심하세요!)

따라서 $G_{\overline{X},\overline{Z(W)}}$는 위와 같이 변경됩니다. $Z\rightarrow X$는 $\overline{X}$에 의해, $W\rightarrow Z$는 $\overline{Z(W)}$에 의해 제거되었죠.

 

반면 이 경우, 하나 있는 $Z$가 $W$의 부모이므로 $Z(W)$는 공집합입니다. 그래서 $\overline{Z(W)}$를 한다고 해도 $X\rightarrow Z$는 바뀌지 않습니다.

 

그러면 두 케이스에서 $do(z)$는 무시할 수 있을까요? 두 케이스 모두, $X$와 $W$를 conditioning하면 $Z$와 $Y$는 d-separated이므로 $do(z)$는 무시 가능합니다!

Application

앞서서 frontdoor & backdoor adjustment는 $do$-calculus를 통해 유도될 수 있다고 했습니다. 그 과정을 직접 살펴보면서 $do$-calculus가 실제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살펴봅시다.

Backdoor Adjustment

 

Frontdoor Adjustment

$do$-calculus의 특징

$do$-calculus는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Complete: $do$-calculus의 3가지 규칙을 이용하면 모든 identifiable causal estimand를 identify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이 세 가지 규칙을 이용해도 identify하지 못하는 케이스는 그냥 identify할 수 없는 케이스입니다.
  • Nonparametric: $do$-calculus는 데이터 분포에 대해 특별한 가정을 하지 않습니다. 특정 분포를 가정했을 때는 parametric identification이라고 불리며 nonparametric에 비해 더 많은 causal estimand를 알아낼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 코스에서는 다루지 않는다네요.

Determining Identifiability from the Graph

$do$-calculus가 유용하고 좋긴 한데, frontdoor이나 backdoor criterion처럼 그래프만 언뜻 보고도 identifiability를 알아낼 수는 없죠. causal graph를 언뜻 보고도 찾아낼 수 있는, 특수한 causal estimand는 더 없을까요?

 

있습니다! Unconfounded Children Identifiability라고 불리는 케이스입니다. 아래와 같은 경우죠.

하나의 conditioning set으로 $T$의 자손 중에 $Y$의 조상인 것들로 통하는 backdoor path를 모두 막을 수 있다면, $P(y\:|\:do(t))$는 identifiable하다.

frontdoor adjustment와 비슷해 보입니다. 자세한 예시를 볼까요?

 

위의 그림에서 frontdoor는 만족하지 않지만 confounded children은 만족한다. Confounded children criterion이 좀 더 일반적인 기준인 셈이죠.

이 외에도 hedge condition이라는 게 있긴 한데, 이 강의에서는 다루지 않습니다.


참고자료

'Introduction to Causal Infer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 8. Unobserved Confounding Analysis  (0) 2022.09.23
Chapter 7. Estimation  (0) 2022.08.15
Chapter 5. Randomised Experiments  (0) 2022.08.07
Chapter 4. Causal Models  (2) 2022.07.18
Chapter 3. Graphical Models  (1) 2022.07.12

블로그의 정보

가짜연구소 Causal Inference Lab

wholmesian

활동하기